차량 및 타이어 구입 Q&A

제목

[BYD 씰 타이어 교체] 답변 드립니다.

아이디
김기태PD
등록일
2025-10-05 20:55:14
조회수
317

안녕하세요. 오토뷰 김기태PD입니다.

 

아쉽게도 씰은 특정 영역에서 안정성이 좋은 편은 아닙니다. 업계 평균보다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래도 씨라이언7 보다는 낫고요.

 

소비자 분들은 저희가 시행하는 테스트가 나와 상관없다고 생각하지만.. 이건 단순한 특정 시험에 불과합니다.

도로에서는 더 다양한 변수가 만들어지니까요. 속도가 높아서가 아니라 여러 환경이 만드는 변수입니다.

그 때문에 각 제조사들이 수없이 많은 항목을 바탕으로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저희가 테스트하는 것도 유럽 일부 브랜드에서 하는 것을 응용한 것이지 임의로 만들어낸 것은 아닙니다.

 

일단 뒷축이 빠지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ESC가 켜져 있어도 이 현상이 나타나는데, 타이어의 마모가 심해지거나

순정(OE) 타이어 대비 그립이 떨어지는 타이어를 쓰게 되면 한계가 더 낮아지고 특성이 더 빠른 시점에 나오게 됩니다.

 

쉽게 예를 들어 빗길을 달리는데 OE타이어가 새것일 때는 80km/h에서도 문제가 없었는데, 마모가 늘자 65~70km/h에서 리어가 미끄러지는 특성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고, 상대적으로 젖은 노면 성능이 부족한 4계절 타이어를 쓰다 마모되었을 경우 이보다 더 낮은 영역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런 현상은 급격한 코너링이 아니라 완만한 코너링, 때로는 직선 주행 중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었을 뿐인데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일부 자동차 및 타이어 제조사에서는 직선으로 달리는 중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도 차량의 거동에 문제가 생기는지도 점검하죠.)

 

현재 씰의 OE타이어는 가성비 중심의 타이어입니다. 여기에 전기차의 특성을 고려한 회전저항을 높이다 보면 순수 그립에 약간 한계가 생깁니다. 특히나 씰은 출력이 높아 타이어에 걸리는 부담이 큽니다. 반면 타이어 너비는 235mm급에 불과하죠. 

사실 OE 타이어의 성능도 부족하게 느껴집니다. 써머로서 평균보다 낮은.. 여기엔 앞서 설명드린 전비 확보 등 여러 이유가 포함됩니다.

 

그래서 성능이 좋은 써머 타이어를 쓰는 것이 추천됩니다. 

RE(애프터마켓)을 기준으로 보면 최소 한국 에보, 금호 PS72 정도가 될 것입니다. 

미쉐린 프라이머시5, PS5, 콘티넨탈 MC7과 같은 타이어도 좋은데, 그건 좀 비싸죠.

가성비로 보면 브리지스톤 RE004급도 좋은데, 신형 타이어 데뷔를 앞두고 물량이 많지 않습니다. 또 이 타이어는 성능은 무난하나 사이드월이 단단해서 승차감이 다소 떨어질 수 있고요.

 

뭐라 딱 지정해서 말씀드리긴 뭣하나 현재 보다는 성능이 잘 나오는 타이어가 매칭되면 됩니다. 역으로 생각하시는 타이어를 문의 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겨울철에는 써머 타이어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윈터 떠는 올웨더 중에서 일반(마른, 빗길) 성능이 잘 나오는 타이어를 써주면 도움이 되고요. 현재 미쉐릔 CC3 등이 있는데, 이 성능으로 충분한가는 저희도 경험을 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그래도 타이어가 보강되면 안정성이 높아지는 만큼 안전에 대한 기대감도 키울 수 있습니다.

 

일단 현재 타이어의 성능을 감안하시되 예산 및 성능을 감안하시어 몇개의 여름용 타이어를 생각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겨울에는 앞서 말씀드린 윈터나 올웨더의 사용을 고려해주시면 좋고요. 

 

더 안전하고 즐거운 드라이빙 되시길 바랍니다.

 

즐거운 한 주 되세요.

작성일:2025-10-05 20:55:14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