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및 타이어 구입 Q&A

제목

[폭스바겐 골프 GTI & BMW 320 & 제네시스 G70] 답변 드립니다.

아이디
김기태 PD
등록일
2025-08-29 13:58:12
조회수
634

안녕하세요. 오토뷰 김기태PD입니다.

 

나를 위해 즐기기 좋은 차량..

이건 답이 눈에 딱 들어오네요.

 

일단 구동 방식에 따른 핸들링의 이점으로 3시리즈가 최고입니다.

그러나 핸들링이란 것이 꼭 구동 방식에서 다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내가 원하는대로 그대로 움직인다는 개념. 여기선 GTI가 우세합니다. 차의 콘셉트가 그러하니까요.

정확히 GTI와 핸들링을 논해서 미소 우위를 점하려면 M340i급은 되어야 합니다.

 

제네시스 G70은 첫 시도로 나쁘지 았았던 모델입니다. 성능은 스팅어가 나았지만 단종되었고...

근데 G70이 추가 개발없이 단종되는 운명이다 보니 사실 성능도 7~8년 전 차량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당시의 F바디 3시리즈 보다 성능이 부족했는데, 그 이후로 추가 개발을 하고 있지 않다보니 엔진 출력이 만드는 성능 일부를 제외하고는 사실 현세대 모델로의 경쟁력은 낮다는 것이죠.

그렇다고 밸류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도 아니고... 

 

과거(꽤 오래전)에 관련 현대차 고성능 관련 담당자에게 G70 N 같은 모델을 왜 안만드냐고 물었던 적이 있습니다.

답은 이러했습니다. 고성능 버전을 만들 수는 있다. 그러나 노하우(기술력)이 제한적이라 많은 돈을 쏟아부어서 만들어도 BMW M이나 AMG, 아우디 RS보다 성능이 떨어진다.

심지어 캐딜락 V에게도 안된다. 근데 개발비 일부라도 보전 받으려면 가격을 많이 높여야 한다.

못해도 1억 내외 또는 이상을 받아야 한다. 근데 유사한 가격에서 BMW M, AMG, RS를 두고 전세계 소비자 중에서 제네시스를 택할 소비자가 얼마나 되겠는가? 손실이 너무 크다. 그래서 못한다.

만약 꾸준히 개발했다면 지금쯤 초기형 F바디의 일정 수준 능력을 가질 가능성도 있었겠지만.. 아쉽게도.. 그래서 메리트가 전혀 없습니다.

 

자.. 파워 빼곤 모든 면에서 G70 보다 3시리즈가 나은데.. 3시리즈의 아쉬움은 출력입니다. 이는 즐기기 위한 운전을 하는데 일부 중요 요소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서킷 운전을 할 것이 아니면 조금 더 안정적이고 편안하며 다루기 쉽고 빠른 차가 필요합니다.

그 측면이면 GTI는 최고의 가치를 보여줍니다.

 

얼마전 현대차 N 관련 일을 하는 후배와 이런 저런 얘기를 했는데, 이런 얘기가 나왔습니다.

아반떼N이 생각보다 안팔린다고... 결국 이 얘기의 정리는 셋업의 특성으로 끝납니다.

아반떼N은 운전 실력이 일정 수준 이상되는 드라이버가 서킷에서 탈 때 랩타임을 내기 좋은 셋업입니다. 언더스티어가 적고 뒤가 잘 돌죠.

근데 일반인 관점에서는 다루기 까다롭고 오버스티어가 쉽게 나타난다는 얘기가 됩니다. 아마추어 드라이버들이 타게이란 것입니다.

그래서 일반소비자들이 운전하기 부담스럽고, 아쉽게도 일부 운전자들 때문에 양카의 이미지가 생기고 있다는 것도 문제라 하더군요.

그리고 GTI 얘기가 나왔는데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초보가 타건 할머니가 타건 다루기 쉽고 빠르고 안정적이라고... 즉, 폭스바겐 노하우면 아반떼 N보다 공격적으로 빠른 차를 만들 수 있지만, 대중성 때문에 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독자님이 서킷에서 타이어값 수백을 태워가며 랩타임을 내는데 시간을 보내지는 않으실 것 같습니다.

일상에서 즐기면서 재미난 차를 원하시겠죠. 그렇다면 3대 중에 GTI 밖에 답이 없습니다.

참고로 서킷에서도 제법 재미나게 탈 수 있습니다. 

요 밑에 글을 보면 서킷 관련으로 질문 주신 분도 계신데 즐기기 위해 GTI를 타시는 분이죠.

 

중요한 것은 그 목적이 무엇이건 충분히 좋다는 것입니다.

저도 M을 타긴 하는데 사실 일상에서는 좀 헤비하죠. 그래서 GTI 리뷰때 이런차 갖고 싶다고 말했는데... 그거 진심입니다.

아울러 수많은 차를 경험한 저희 PD 중 한명의 현실적 드림카이기도 하고요. 아마도 1년 안에는 탈 것 같지만.. ^^

 

핸들링, 무난한 가속, 안정성 등등.. 분명 가격 대비 최고는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안은 없습니다. 적어도 한국에서 신차를 구입한다면..

 

즐거운 한 주 되세요.

 

 

 

 

 

 

 

 

 

 

 

 

작성일:2025-08-29 13:58:12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