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토뷰 김기태PD입니다.
모델Y는 적당히 단단한 느낌을 전하는 전기차입니다. 이전엔 좀 딱딱한 편이었지만 지금은 많이 타협했죠.
대신 안정성에서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독자님께서 소프트웨어의 진화에 목적이 있다면 매우 좋은 솔루션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아니면 최상의 답은 아닙니다.
일단 성능과 안정성에서는 RAV4 시리즈가 유리하긴 합니다.
국산 모델로는 쏘렌토가 무난하고요. 다만 Rav4처럼 모델 체인지 이슈가 있습니다. 두대를 놓고 가격적 이점을 따지면 당연히 쏘렌토... 안정성과 연비 등을 따지면 rav4 hev
운전 편의성까지 보태면 rav4 phev라는 답이 나옵니다. 운전 편의라는 것은 내가 원할 때 안정적이고 빠르게 가속되어 운전자를 편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영상에서도 가끔 말씀드리지만 s클래스 같은 고급 세단에 V8 이상의 엔진을 쓰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언제어디서든 편안하고 부드럽지만 빠르게 전개되는 가속.. 그것이 고급차의 조건이기도 하고요. 특히나 모터 서포트를 받는 PHEV는 배터리가 있을 때 이점이 많습니다. 다만 충전기 사용이 어려우면 메리트가 줄어 그냥 HEV가 낫고요.
사실 쏘렌토 하이브리드 4200만원대, RAV4 PHEV가 5천만원선이면 가성비에서는 PHEV가 낫긴 합니다. 성능 차이가 크니까요.
대신 쏘렌토에게는 공간의 이점이란 것이 있죠.
여기서의 핵심은 충전기 사용 여부입니다. 가능하다면 독자님의 혜택이면 PHEV의 메리트가 뚜렷합니다.
그러나 충전기 사용이 제한적이면 쏘렌토, Rav4 하이브리드 중에서 택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둘 중에서의 선택? 만약 교체 주기가 4년 정도면 쏘렌토의 경쟁력이... 5년 이상 장기 보유면 RAV4가 유리한데, 사실 고장 가능성이 매우 낮고 소모품 정도 교체 이상의 관리 요구 가능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사실 토요타 차의 실내 등을 보면 국산차 대비 아쉬움이 많죠. 투박하고.. 그러나 타본 사람들은 별 불만이 없는게.. 타는데 지장없고 속을 썩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약점은 고장이 안나서 다음 차로 바꾸고 싶어도 내무부 승인이 잘 안떨어진다는 것...
마지막으로... 아무 중요하지 않은 얘기.. 가끔은 너라면 무엇을 살래 하고 묻는 분들이 계신데.. 그리 답한다면.. 저는 phev일 것 같네요. 당시 시승을 하며 많이 놀랐던 것이 이유입니다.
토요타에서 기대하는 것이 평균 80이면 PHEV 버전은 95 정도를 보였거든요. 다만 가격이 비싸다 보니 추천에 제한이 따를 뿐 차는 좋습니다.
즐거운 한 주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