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뷰 에피소드

제목

[급발진 영상] 답변 드립니다.

아이디
김기태 PD
등록일
2024-07-11 15:12:47
조회수
806

안녕하세요. 오토뷰 김기태PD입니다.

 

90년대엔 이런저런 이유로 급발진과 유사한 증상이 많았습니다.

저도 제 차량의 아이들링이 4천rpm에 고정된 상황을 많이 겪었고요. 당시 아이들링 제어 모터의 문제로 이런 현상이 나타날 때가 종종 있었습니다.

당시 스마트폰 등이 있었다면... 그래서 그걸 찍어놓고 유튜브 등에 릴리즈 했다면 아마도 대박이 났을 듯 하네요. 

긍정적 측면도 있는게... 당시의 수없는 고장 덕분에 제가 지금의 직업을 갖게 되었네요. ^^

 

말씀대로 강한 브레이크로 엔진 출력을 제어할 수 있긴 합니다. 그러나 100%라고 말하기도 어려운 것이 일부 차들은 두 페달을 동시에 밟았을 때 휠이 슬금슬금 돌기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브레이크로 제어됩니다. 다만 정지상태가 아닌 차량이 움직이는 상황, 여기에 풀파워... 다시금 제동력으로 제어할 때 차가 완전히 설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그리고 이 시험 조건을 구축하기 위한 시험용 차 등을 구하는 것도...

 

또한 급발진의 유무에 대해 쉽게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입니다.

똑똑하다는 최고의 엔지니어들이 만든 PC의 OS에서도... 삼성이나 애플의 최고 엔지니어들이 만든 제품에서도 오류는 존재합니다.

자동차의 설계에서도 소프트웨어에서도 오류가 나오기에 꾸준히 보완(리콜 및 업데이트) 되고 있고요.

 

자동차의 오버라이드 기능은 1차적인 기본 시스템이나 그 이상의 기타 영역 및 조건에서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 또한 위험하다는 생각입니다.

또한 이제 일부 자동차들은 브레이크 조차 전자적으로 제어됩니다. 전자 제어에 오류가 발생하면...

 

관련 업계 석박사 연구원들도 확실히 급발진이 없는가 라는 질문에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지 없다고 단정하지 않습니다.

 

물론 지금의 급발진 주장의 상당수는 오조작이라 생각합니다만... 

그 중에 진짜가 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여기서 선의의 피해자가 생기면 안되니까요.

https://youtu.be/fRMXw2dpkvo?si=43oM9Vw8VPJo7J_N&t=18

 

여담으로 이 뉴스를 보면서 단순히 사고와 열폭주만 생각하지 사고의 시작, 그 원인이 어디에서 나왔을까를 생각하는 분들이 얼마나 될까요? 

근데 관련 전문가들은 사고의 이유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말을 하고 있지 않을 뿐이죠. 

 

소비자들의 시선이 하나에 머물지 않도록 하는 것도 저희 몫이라 생각할 것들이 많네요.

 

좋은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한 주 되세요.

 

 

작성일:2024-07-11 15:12:47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