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뷰 에피소드

제목

[에어서스펜션] 답변 드립니다.

아이디
kitaepd
등록일
2023-10-09 17:09:04
조회수
1306

안녕하세요. 오토뷰 김기태PD입니다.

 

에어서스펜션은 고급형 장비입니다.

이 때문에 프리미엄 브랜드의 고급차, 정확히는 프리미엄 중형급 이상의 상급 트림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씀하신 토요타와 쉐보레는 대중 브랜드입니다. 그 때문에 고급 장비 사용에는 제한이 따릅니다.

물론 일부 차들은 프리미엄임에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가령 캐딜락 XT6는 고급형이지만 일반 서스펜션을 쓰는데, 이 차가 트래버스를 기반으로 튜닝한 고급형 버전이기 때문입니다. 소재나 편의장비 등으로 업그레이드한 리벳지 모델인 셈이죠.

 

폭스바겐은 대중 브랜드이긴 한데, 조금 애매한 포지션입니다.

정확히는 대중과 프리미엄 사이.... 눈에 띄는 장비로 보면, 디자인도 평이해 보이지만 나름대로 신경을 써서 만든 모델입니다.

 

특히 투아렉은 자사의 최상급 모델입니다. 그래서 나름대로 고급장비를 쓴 것이죠.

또한 에어서스펜션은 공급사에서 받아서 쓰면 되긴 하는데, 셋업 노하우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집니다. 

폭스바겐그룹은 다양한 브랜드, 특히 고급 브랜드를 많이 거느리고 있어 에어서스펜션 사용에 무리가 없습니다.

 

반면 일부 브랜드들은 에어 서스펜션 사용에 제한이 따릅니다. 사용 경험이 적은 브랜드는 노하우가 적어 셋업에서 제한이 따릅니다.

(같은 정육점에서 가져온 고기를 내가 구우면 그냥저냥, 근데 고급 식당가서 먹으면 매우 맛나죠? 굽는 것도 노하우인데, 차량 셋업은 더더욱 그렇습니다.)

 

또한 제조사 입장에서는 시장성도 봐야 합니다. 국내를 기준으로 시장에서는 GV80이나 벤츠 GLE, BMW X5, 아우디 Q7 등이 동급처럼 얘기 되지만 사실 소비자 층이 다릅니다.

GV80의 소비자 다수가 2.5T를 구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주요 구매 가격대도 7~8천만원대입니다.

반면 나머지 수입 모델들은 1억원을 넘어섭니다. 요즘은 할인을 받아도 1.1~1.2억원 정도되지요 (아우디 제외)

 

즉, 동급으로 묶이지만 실구매 현실로 보면 완전히 다른 소비자 그룹들입니다. 차액 4~5천만원... 쉽게 말해 아반떼와 G80 세단의 가격 차이가 됩니다. 

GV80 소비자들에게 같은 돈으로 GLE, X5를 주겠다면 거절할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역으로 GLE, X5 소비자에게 같은 돈으로 카이엔을 주겠다고 해도 거절할 수가 소수일 것입니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값비싼 장비를 넣었을 때 옵션 채용 빈도도 따져 볼 것입니다. 그런데 개발비만 많이 들고 채용 빈도가 낮다면 사실상 적자를 내는 요소가 될 것입니다.

특히 제네시스는 전체 판매량의 70%가 국내시장에서 이뤄집니다. 그리고 국내 소비자 상당수는 외형상 풀옵션을 좋아하면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고급화 장비(엔진 등) 채용 때는 가성비를 이유로 구입을 꺼려합니다.

 

참고로 에어서스펜션 없이 무난한 승차감과 성능을 내는 브랜드 들이 있긴 합니다. 그러나 최종 승차감을 따질 때, 에어서스펜션이 있는 것 보다 좋은 승차감을 낸다기 보기 어렵습니다. 쉽게 말해 대증 브랜드의 고급형 모델로서 좋은 승차감, 프리미엄 브랜드의 고급형 모델로의 좋은 승차감이 동일 선상에서 비교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시장에서의 브랜드 밸류, 제조사의 차량 개발 능력, 구매력 있는 소비자 확보 등 다수의 조건이 고려되어 채용 되는 장비 중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통상 큰 차에 많이 쓰이는 것은, 대부분의 큰 차들이 고급형이라 그런 것도 이유입니다. 대략적으로 보면 1억원 이상의 SUV 및 세단에 쓰이는 경우가 많죠.

 

즐거운 한 주 되세요.

 

 

 

 

▶ hayanzero님이 쓰신글입니다 ◀ >

주위에서 현대 GV80의 승차감 문제를 차량의 크기에도 불구하고 에어서스펜션을 적용하지 않아서

승차감이 좋지 않다는 얘기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크기를 기반으로 에어서스펜션을 적용한 차량과 적용하지 않은 차량을 찾다보니

단순히 크기만을 이유로 에어서스펜션을 적용하는 것 같지는 않더라구요.

 

투아렉의 경우 트래버스보다 작고, 토요타 하이랜더와 비슷한 크기임에도 에어서스펜션을 적용하였고

트래버스와 토요타 하이랜더는 상당히 큰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서스펜션만으로 훌륭한 승차감을 보여주고 있는것으로 압니다.

 

개인적으로 제조사에서 단순히 고급차량이라는 이유만으로 에어서스펜션을 적용하는건 아닐 것이고

어떠한 기준(차량의 크기라던지 축거 등..)으로  에어서스펜션을 넣을지 넣지 아니할지 결정하는 건가요?

 

작성일:2023-10-09 17:09:04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