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그렇습니다만.. ^^ 단, 최근에는 DSG를 비롯한 듀얼클러치가 수동 못지 않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 이 변속기들에 대한 관심도 매우 큽니다.
준중형모델.. 국내 시장을 기준으로 본다면 배기량이 큰 차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실제 준중형 모델의 사이즈 및 무게라면 2.0리터급 엔진이 올라가야 여러가지 측면서 이점을 보이지만.. 잘못된 세금 체계가 엔진 배기량에 대한 부담만 올려 놓았지요.
따라서 축소된 배기량의 엔진 출력을 최대한이라도 뽑아내려면 수동변속기가 좋습니다. 동력 손실이라는 것이 자동변속기에서는 크게 나타나거든요.
이런 맥락으로 본다면 성능서 라세티 프리미어 디젤의 수동버전이 가장 유리합니다만.. 언덕 등서 반클러치를 걸어 출발할 때 간혹 시동이 꺼지기도 합니다. 핸드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해결이 되지만 아직 국내서는 익숙하지 않은것 같습니다.
연비는 현대의 디젤 엔진이 가장 우세합니다. i30를 비롯해 아반떼 등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지요. 라세티 프리미어의 경우는 배기량이 크고 차량 무게가 다소 나가다보니 경쟁모델에 비해서 힘은 좋지만 연비는 다소 주춤하는 현상을 보여줍니다.
차량의 잔고장 문제는 크게 신경쓰시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과거와 달리 국산차들의 내구성과 품질이 매우 좋아졌거든요.
이로 인한 스트레스는 거의 0%에 가깝다 말해도 좋을 정도입니다.
소모품 교환주기 역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운전자가 어떻게 차를 다루느냐가 이슈일뿐 보편적인 주기안에서 교환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스트레스 역시 크지 않다고 보시는 것이 맞습니다.
제가 볼때는 원하시는 스타일 및 연비 등에서 이점을 보이는 차량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어떠세요?
자동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구동손실이라는 면이 축소되는 수동변속기를 택하고자 하신다면 나머지는 말 그래도 취향에 따르셔도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부품 가격도 메이커 별로 차이가 있습니다만.. 국산차의 경우 편차가 크지 않습니다.
즐거운 한주되세요.
▶ dragonwoo72님이 쓰신글입니다 ◀
>안녕하세요?
> 항상 김기태 기자님의 시승기에 감사드리며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문의하고 싶은 사항은 국산 준준형차(수동-매뉴얼) 선택의 문제입니다.
>
> 김기태 기자님은 아반테HD는 무난함, 포르테는 가속성능, 라세티프리미어는 디자인과 주행안정성(핸들링), SM3는 큰차체와 편의장치 그리고 무단변속기 등을 장점으로 말씀하셨는데요, 위의 장점사항은 대부분 자동변속기차량이어서 수동변속기 차량은 과연 어떨지 궁금합니다.
>
> 저는 운전을 수동으로 배워 시작했고 지금은 준준형 자동변속기를 몰고 있지만 주행의 답답함으로 인해 수동변속기 차량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윗 차종중에서 선택하려는 데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
> 첫번째로 연비(참고로 하루 30kM주행), 둘째, 차량의 잔고장(소모품교환주기와 부품가격-타이밍벨트 및 디스크삼발이) 셋째, 차량의 가속성과 주행안정성입니다.
>
> 위와같은 세가지 사항 참고하여 차량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항상 건강하시고 안전운전하시고 좋은 정보 많이 알려주세요^^
작성일:2009-10-06 16: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