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전기차 급발진 문제, 청와대 청원까지…해결법은 없나?

  • 기자명 김기태 PD
  • 입력 2021.06.15 15:31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차가 늘어가는 추세다. 택시 시장에서도 전기차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하지만 늘어나는 차량 숫자에 맞춰 일부 문제들도 발생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급발진이다.

과거 탤런트 손지창씨의 테슬라 급발진 사고가 이슈가 된 적이 있다. 급발진을 이유로 테슬라 측에 소송을 낸 것이다. 이 사건은 손씨가 소를 취하하면서 끝났다.

늘어난 전기차 수에 비례해 전기차 급발진 얘기도 가끔씩 들여온다.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전기차 택시(코나 EV)와 관련한 청원이 올라왔다. ‘4번이나 죽을뻔한 저희 아빠의 억울함을 풀어주세요’라는 제목이다. 청원인은 20개월 동안 차를 보유하며 4회에 걸친 급발진을 겼었다고 밝히며 블랙박스 영상도 공개했다.

급발진. 이 문제는 쉽게 규명되기 어렵다. 급발진의 이유에 대해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개인이 제조사에 맞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은 더 어렵다. 과거엔 급발진을 접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과거 케이블 방식에서 전자식 스로틀 제어 시스템으로 바뀌면서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기차에게는 내연기관 같은 스로틀이 없다. 가속 페달로 전기 신호를 보내면 페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모터를 구동 시킬 뿐이다. 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어떠한 전기적 신호가 주어지만 모터는 구동될 수 있다. 전기차를 이루고 있는 상당수 부품은 반도체다. 여기서 발생한 문제를 개인이 해석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제조사들도 이를 정확히 규명하기 어렵다. 특정 조건이 차량에게 정상 작동 조건으로 비칠 경우 문제를 찾는 것은 더 어려워진다.

증상이 발현되면 문제를 찾기 쉽다. 하지만 만나기 힘든 특정 조건이 문제의 시발점이면 이를 찾아낼 가능성은 낮아진다. 새로 출시된 자동차에서 어떤 문제(결함)가 나왔을 때, 다수의 차량에서 문제가 나온다면 해결법 또한 빨리 제시된다. 하지만 특수한 조건을 기초로 소량의 차에서 문제가 나온다면 문제를 찾기 어렵다.

만약 제조사 스스로가 이 문제(급발진)를 찾아냈다고 해도, 이를 이유로 리콜을 하기도 힘들다. 급발진의 존재를 스스로 알려야 하는 꼴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그 제조사와 관련된 모든 급발진 이슈가 도마 위에 오르며 줄소송이 이어질 것이다. 이것이 제조사들이 급발진 또는 가능성을 숨기는 이유다.

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을 만나 얘기를 했을 때 급발진 가능성을 100% 부정하는 사람을 만나기는 어렵다.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보지만… 하고 말을 흐릴 뿐이다.

결국 국민의 생명 보호를 위해 국가 기관, 제조사들과 이해관계가 없는 전문가들이 나서는 수밖에 없다. 물리적으로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며, 해답을 찾을 가능성도 낮겠지만 안전을 위한 제2, 제3의 백업 시스템을 제안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백업 시스템이 의무화되면 급발진의 가능성 또한 줄어들 여지가 생긴다.

멀쩡하던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소프트웨어 문제로 갑자기 다운되는 사례를 목격한다. 최고의 프로그래머들이 머리를 맞대고 만든 시스템이지만, 오류 때문에 꾸준한 업데이트를 시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오늘 구입한 나의 최신 스마트폰이 완벽하다고 믿는가? 애플의, 삼성의 최신 스마트폰도 소프트웨어 오류를 꾸준히 수정한다. 지금의 자동차도 덩치 큰 컴퓨터와 다르지 않다. 반도체 수급 문제로 생산이 지연되는 요즘 시장 상황을 봐도 커다란 컴퓨터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저작권자 © 오토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