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제조사들, 가전제품용 반도체로 눈 돌린다

  • 기자명 박종제 에디터
  • 입력 2022.02.17 11:31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도체 부족 사태가 만성화되면서 자동차 제조사들이 매출과 이익에 막대한 타격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을 타계하고자 급기야 가전제품용 반도체까지 눈독을 들이기 시작했다. 물론 이게 그리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요즘 자동차 주문한 사람들 사이에 한결같이 나오는 말이 있다. ‘대체 언제쯤 나올까?’ 수시로 담당 딜러에게 전화를 해봐도 돌아오는 대답은 뻔하다. “기다려주세요.” 아니면 “몇 달 후면 드디어 ‘생산'에 들어갈 것 같습니다.” 이다. 이런 상황은 예전에도 있었다.

물론 그 중 대부분은 페라리, 람보르기니 혹은 포르쉐 GT3같은 스포츠카들에게나 해당되던 이야기였다. 하지만 지금은 지극히 평범한 패밀리카도 최소 2~3달 내지는 길면 10개월 이상 대기해야 한다. 특히 전기차라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아예 옵션, 컬러 등을 고려하지 않고 하루라도 빨리 나올 수 있게 해달라고 부탁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대기 수요가 폭증하면서 장기 렌트나 리스 업체들이 의외의 특수를 맞이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왜 이런 사태가 벌어진 것일까? 다들 잘 알겠지만 원인은 반도체 때문이다. 반도체 부족 현상은 적어도 코로나 19 바이러스 이전에는 보고된 적이 없었다. 하지만 2020년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19가 모든 것을 바꾸어 버렸다. 우선 자동차 제조사들의 수요 예측 실패가 가장 큰 패착이었다.

반도체 자급이 되지 않는 자동차 제조사들은 코로나 19로 인해 사람들이 자동차를 이전보다 덜 구입할 것이라 믿고 반도체 주문량을 축소시켰다. 반대로 가전 제품 시장은 예상대로 활황이었고, 따라서 반도체 제조사들은 가동 라인을 모두 가전 제품용으로 전환했다. 뒤늦게 자동차용 반도체를 주문했지만, 반도체 생산 공정은 한 번 라인이 가동되면 다른 제품 생산 라인으로 전환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주문을 바로 처리해낼 수 없다는게 문제였다.

여기에 미국, 일본, 대만과 같이 대규모 반도체 제조 컴플렉스에서 화재, 지진,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했고 일부 공장들이 멈춰버리는 사태가 생기면서 급격한 산업과 시장 환경 변화에 대처 속도가 느린 반도체 산업은 그대로 굳어 버렸다.

그리고 그 여파를 자동차 제조사들이 고스란히 맞고 있는 것이다. 이 상태로 2022년까지 무려 2년이라는 시간이 흐르고 있으며 주문한 자동차를 기다리는 고객들도 물론이지만 자동차 제조사들의 속은 까맣게 타들어가고 있다. 결국 즉각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내야만 하는 상황이 직면했다.

그래서 최근 자동차 제조사들이 눈독 들이는 분야가 바로 가전제품 분야다. 특히 가전 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자동차 생산 라인에 가져오기 위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물론 이 솔루션은 생각보다 간단치 않다. 우선 자동차용 반도체와 가전 제품용 반도체는 요구 조건이 완전히 다르다.

우주 왕복선에 쓰이는 반도체와 스마트폰의 반도체가 다른 것과 같은 이유다. 바로 안정성 때문이다. 특히 자동차에 쓰이는 주요 반도체들은 고장이나 오류를 일으킬 경우 곧바로 심각한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요구한다. 반면 가전 제품은 고장이 나더라도 목숨을 위협하는 일이 없고 즉각 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 분야의 요구 조건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자동차 제조사들은 가전제품용 반도체로 눈을 돌리고 있다. 더 노골적으로 이야기하면 반도체에 굶주려 있다 보니 거의 군침을 흘리고 있는 수준이다. 원래대로였다면 그들이 취할 물건은 아니었지만, 지금은 이것 저것 가릴만한 처지가 아니란 뜻이기도 하다.

물론 가전 제품 반도체를 가져온다고 해도 ECU를 포함한 자동차 제어와 관련된 전자 장비에는 쓸 수 없다. 특히 자동차 제어 관련 전자 장비들은 대체로 특정 자동차 회사만을 위해 설계되어 있거나 매우 가혹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높은 수준의 안전 기준에 충족해야만 쓸 수 있으며, 이런 조건은 가전 제품에는 해당되지 않는 이야기다.

따라서 자동차 제조사가 가전 제품용 반도체를 사용할 수 있는 분야는 제한적이다. 예를 들면 테일램프나 방향 지시등과 같은 비교적 안전 기준이 낮고 중요도가 덜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나 이렇게라도 자동차용 반도체 사용 범위를 줄인다면 그나마 정체된 공정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고객에게 차량을 보다 빨리 인도해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현재 다수의 자동차 회사가 갖고 있는 생각이다.

이와 같은 생각으로 가전제품 반도체로 시선을 돌리고 있는 회사는 현대 자동차가 있으며 닛산을 비롯해 다수의 회사들이 이미 비슷한 방식으로 생산 정체 현상을 일부나마 해소하고 있다. 이 방법이 자동차 제조사에게는 당장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순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가전 제품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어쩌면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물건들이 전반적으로 부족해지는 현상을 겪게 되는 것은 아닌가 염려해야 할 상황이다.

박종제 에디터는?

F1 레이싱 코리아 전 편집장으로 포뮬러 1과 관련된 뉴스 그리고 레이스의 생생한 이야기와 트랙 밖의 이야기를 다수의 매체를 통해 전해왔다.

레드불 코리아, 한국 타이어 매거진 뮤(MiU) 등의 온/오프라인 채널에 F1, 24h 르망, WRC 등 다양한 글로벌 모터스포츠 이야기를 전하고 있는, 모터스포츠 및 자동차 전문 에디터다.

저작권자 © 오토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